망댕이가마와 공방
우리나라 특유의 칸 가마 - 망댕이 가마
-
망댕이 가마터01
-
망댕이 가마터02
-
망댕이 가마터03
-
망댕이 가마터04
우리나라 특유의 칸 가마로서 망댕이 가마라 불린다. 주변에는 작업장, 디딜방아, 땅두멍, 괭 등 일련의 도자기 생산시설을 함께 갖추고 있다. 외형은 봉통, 요리칸에 이어 조금씩 규모가 큰 대여섯 개의 칸으로 구성되는데, 요리칸으로부터 끝목칸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으로 15°정도의 경사로 이어져 있다.
각 칸의 연결부위에는 살창구멍이 있다. 살창구멍은 연기와 불꽃을 배출하기도 하고 열을 전달하는 불길의 통로 역할을 하는 7~12개의 구멍을 말한다. 각 칸에는 칸문이 설치되어 있어 그릇의 출입구 역할과 불창 역할을 한다. 바닥은 부뚜막[窯床]과 불바닥으로 구성되어 있다. 도수리구멍은 화도(火度)를 살펴 그릇의 익는 정도를 관찰하는 구멍이다.
가마는 망댕이와 흙벽돌로 만들어진다. 망댕이는 길이 20 ~ 25cm, 굵기와 모양은 사람의 장단지와 같은 진흙덩이를 말한다. 가마의 윗부분이 반구형(半球形)이 되도록 이어 짜 올리는데 사용한다. 흙벽돌은 가마벽과 살창다리, 부뚜막을 만드는데 사용한다. 가마 외벽은 짚을 섞어 두껍게 진흙을 바르고, 내벽은 진흙물로 매흙질을 한다. 가마 위에는 비바람으로부터 가마를 보호하기 위하여 초가지붕을 얹었다.
각 칸의 연결부위에는 살창구멍이 있다. 살창구멍은 연기와 불꽃을 배출하기도 하고 열을 전달하는 불길의 통로 역할을 하는 7~12개의 구멍을 말한다. 각 칸에는 칸문이 설치되어 있어 그릇의 출입구 역할과 불창 역할을 한다. 바닥은 부뚜막[窯床]과 불바닥으로 구성되어 있다. 도수리구멍은 화도(火度)를 살펴 그릇의 익는 정도를 관찰하는 구멍이다.
가마는 망댕이와 흙벽돌로 만들어진다. 망댕이는 길이 20 ~ 25cm, 굵기와 모양은 사람의 장단지와 같은 진흙덩이를 말한다. 가마의 윗부분이 반구형(半球形)이 되도록 이어 짜 올리는데 사용한다. 흙벽돌은 가마벽과 살창다리, 부뚜막을 만드는데 사용한다. 가마 외벽은 짚을 섞어 두껍게 진흙을 바르고, 내벽은 진흙물로 매흙질을 한다. 가마 위에는 비바람으로부터 가마를 보호하기 위하여 초가지붕을 얹었다.
-
배치도
-
정면도
-
종단면도
-
평면도
-
상부평면도
-
측면도
-
망댕이가마 건립비
-
문경전통 망댕이가마
-
망댕이가마 전경
야외공방
-
야외공방01
-
야외공방02
-
야외공방03
-
야외공방04
-
야외공방05
-
야외공방06